0. IT

자원 및 인프라 백업 (DRP)에 대해서 알아보기

정보공유방 2023. 8. 15. 07:02
반응형

  재난 복구 계획(DRP)의 자원 및 인프라 백업은 기업의 중요한 데이터, 시스템, 애플리케이션 등을 백업하여 재난 상황에서 빠르게 회복할 수 있는 준비를 갖추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를 통해 데이터 손실을 최소화하고 비즈니스 연속성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1.데이터 백업 (Data Backup)

  모든 중요한 데이터는 정기적으로 백업되어 안전한 위치에 저장되어야 합니다. 백업 주기와 저장 장소는 DRP에서 명확하게 정의되어야 합니다. 데이터 백업은 파일, 데이터베이스, 서버 구성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전체 시스템 복구에 필요한 데이터를 보존합니다.

 

2.시스템 이미지 백업 (System Image Backup)

  시스템 이미지 백업은 서버 또는 작업 스테이션의 전체 이미지를 백업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운영 체제, 설정, 애플리케이션 등 모든 것을 포함하며, 시스템의 완전한 복구를 위해 필요합니다.

 

3.가상 환경 백업 (Virtual Environment Backup)

  가상화 환경을 사용하는 경우 가상 머신과 가상 스토리지의 상태와 데이터를 백업하여 복구 가능한 상태를 유지합니다. 가상 환경 백업은 가상화 기술을 사용하는 기업에 필수적입니다.

 

4.애플리케이션 설정 백업 (Application Configuration Backup)

  애플리케이션의 설정 파일과 데이터베이스를 백업하여 애플리케이션 복구 시 필요한 구성과 데이터를 보존합니다.

 

5.네트워크 및 서버 구성 백업 (Network and Server Configuration Backup)

  서버 및 네트워크 장비의 구성 정보와 설정을 백업하여 장애 복구 시 신속하게 구성을 재생성할 수 있습니다.

 

6.온/오프 사이트 백업 (On-site and Off-site Backup)

  백업된 데이터는 기업 내부(온사이트)와 외부(오프사이트)에 저장될 수 있습니다. 온사이트 백업은 빠른 복구를 위해 사용되며, 오프사이트 백업은 재난 시 기업 데이터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7.백업 주기와 보존 기간 설정

  백업 주기(일일, 주간, 월간 등)와 백업 데이터의 보존 기간을 정의합니다. 중요한 데이터는 더 자주 백업되며, 보존 기간은 기업의 정책과 법적 요구에 따라 결정됩니다.

 

8.백업 테스트 및 검증

  정기적으로 백업 데이터의 무결성과 복구 가능성을 테스트하고 검증해야 합니다. 재난 시 백업 데이터가 실제로 복구될 수 있는지 확인합니다.

 

9.자동화 및 스케줄링

  백업 프로세스는 가능한 자동화되어야 하며, 정해진 스케줄에 따라 자동으로 실행되도록 설정됩니다. 이를 통해 백업 프로세스의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10.암호화와 보안

  백업 데이터는 보안을 유지하고 데이터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암호화되어야 합니다.

 

  이렇게 알아본 자원 및 인프라 백업은 DRP의 핵심 구성 요소 중 하나로, 중요한 데이터와 시스템을 보호하고 재난 발생 시 빠르고 효과적인 복구를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하며, 해당 작업에 대한 최대한의 효율을 위해 백업 전략은 기업의 비즈니스 요구와 허용 가능한 데이터 손실 정도를 고려하여 설정되어야 합니다.

반응형